Project
이천 과수원 프로젝트
Status
under construction
Program
commercial
Gross Floor area
215.40 m2 / 1F
Location
경기도 이천시
마장면 장암리
466-1
Client
private
Photography
Roh-kyung
불온전함이 만들어낸 완결의 공간
이 프로젝트는 결핍의 조건 속에서 시작되었다. 대지는 물류센터와 차량 흐름에 둘러싸여 있었고, 인적이 드물고 건조한 풍경만이 남아 있었다. 무엇보다도 제한된 예산 안에서 건물을 완성해야 했다. 설계는 무언가를 더하기보다 덜어내는 데 초점을 두었고, 비움을 통해 공간을 조직하고자 했다.
건물은 도로를 따라 길게 놓였으며, 시선과 소음을 차단하는 담장이 둘러져 있다. 이 담장은 단순한 벽이 아니라, 혼란스러운 주변 맥락을 걸러내어 차분한 내부의 공백을 만들어내는 건축적 장치로 작동한다. 담장 너머 중심에는 비워진 마당이 자리하고, 두 동의 건물이 마당을 둘러싸는 배경으로 존재한다.
건축은 기능적 최소 단위로 구조화되었다. 콘크리트 벽 위에는 노출된 철골 트러스가 얹혀 있고, 콘크리트·아연도금 강판·합판 등 경제적인 재료들이 날것그대로 사용되었다. 이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자 동시에 프로젝트가 취하는 태도이기도 하다. 구조와 마감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작동하며, 결핍을 하나의 건축적 언어로서 응축한다.
내부는 긴 창을 통해 외부 풍경을 끌어들이며 자연과 느슨한 시각적 관계를 맺는다. 건축은 배경으로 물러서서 자연풍경인 하늘과 바람, 나무를 공간의 일부로 담아낸다. 절제된 건물과 투명한 경계, 그리고 비워진 마당은 사람과 자연, 시간이 개입할 수 있는 공백을 남긴다. 공백의 공간은 비워있음으로해서그 안에 의도치않게 펼쳐지는 무수히 많은 행위들을 포용한다. 이 프로젝트는 의도적으로 완성되지 않는 여지의 공간들을 남김으로 인해 사람들의 경험속에서는 완결되는 공간이며, 언제나 변화에 열려 있는 공간이 되기를 바란다.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![]()
이 프로젝트는 결핍의 조건 속에서 시작되었다. 대지는 물류센터와 차량 흐름에 둘러싸여 있었고, 인적이 드물고 건조한 풍경만이 남아 있었다. 무엇보다도 제한된 예산 안에서 건물을 완성해야 했다. 설계는 무언가를 더하기보다 덜어내는 데 초점을 두었고, 비움을 통해 공간을 조직하고자 했다.
건물은 도로를 따라 길게 놓였으며, 시선과 소음을 차단하는 담장이 둘러져 있다. 이 담장은 단순한 벽이 아니라, 혼란스러운 주변 맥락을 걸러내어 차분한 내부의 공백을 만들어내는 건축적 장치로 작동한다. 담장 너머 중심에는 비워진 마당이 자리하고, 두 동의 건물이 마당을 둘러싸는 배경으로 존재한다.
건축은 기능적 최소 단위로 구조화되었다. 콘크리트 벽 위에는 노출된 철골 트러스가 얹혀 있고, 콘크리트·아연도금 강판·합판 등 경제적인 재료들이 날것그대로 사용되었다. 이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선택이자 동시에 프로젝트가 취하는 태도이기도 하다. 구조와 마감은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작동하며, 결핍을 하나의 건축적 언어로서 응축한다.
내부는 긴 창을 통해 외부 풍경을 끌어들이며 자연과 느슨한 시각적 관계를 맺는다. 건축은 배경으로 물러서서 자연풍경인 하늘과 바람, 나무를 공간의 일부로 담아낸다. 절제된 건물과 투명한 경계, 그리고 비워진 마당은 사람과 자연, 시간이 개입할 수 있는 공백을 남긴다. 공백의 공간은 비워있음으로해서그 안에 의도치않게 펼쳐지는 무수히 많은 행위들을 포용한다. 이 프로젝트는 의도적으로 완성되지 않는 여지의 공간들을 남김으로 인해 사람들의 경험속에서는 완결되는 공간이며, 언제나 변화에 열려 있는 공간이 되기를 바란다.






















︎︎︎